서울, 스타트업 하기 좋은 도시 세계 9위…1위는 역시 '이곳'

[글로벌 스타트업씬] 4월 4주차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image
서울 한강의 야경/사진=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서울이 스타트업을 하기 좋은 도시로 세계 10위권에 든다는 조사가 나왔다. 미국 투자정보사 피치북은 자체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벤처캐피탈(VC) 생태계 순위를 집계, 상위 50위 도시를 공개했는데 서울은 그 중 9위에 올랐다.

이 통계는 최근 6년간 도시별 조달된 자본금액, 엑싯(투자회수), 펀드결성액 등 피치북이 자체 선정한 지표를 종합했다. 이를 통해 VC 생태계의 규모, 성숙도 및 성장률을 평가했다. VC 생태계의 성숙도는 도시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이 자본을 얼마나 유치하고 성장 및 성과를 창출하는지 측정했다.


글로벌 '스타트업 도시' 랭킹 50위


1위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2위는 뉴욕이다. 중국은 베이징(3위), 상하이(4위)를 나란히 상위권에 올렸다. 미국은 로스앤젤레스(5위) 보스턴(6위)도 포함시켰다. 영국 런던(7위)과 중국 선전(8위)에 이어 서울이 9위, 일본 도쿄 10위를 기록했다.

서울은 총점 격인 개발점수에서 9위이지만 성장성 점수는 12위, 자본조달규모는 17위(311억달러, 42조8000억원)를 기록했다. 서울에서 성사된 거래횟수는 6196회로 전체 7위였다. 서울에서 엑싯이 이뤄진 규모는 309회, 710억달러(97조7000억원)이고 펀드결성은 1306회, 727억달러(100조1000억원) 규모다.

종합 1위 샌프란시스코는 자본조달규모 4276억달러로 1위이고 거래 횟수도 1만9000여회로 독보적 1위였다. 뉴욕이 거래 횟수 1만3000여회 등으로 뒤를 이었다.

피치북은 네트워크 효과를 중시했다고 밝혔다. 폴 검퍼스 하버드대 교수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거래의 절반 이상을 추천을 통해 찾게 된다. 스타트업과 VC 네트워크가 활발한 도시일수록 투자처를 찾기가 더 수월하다는 얘기다.

톱10 도시를 배출한 국가는 미국(4개) 중국(3개)과 각각 수도가 포함된 한국·일본·영국 등 5개국이다. 한국·일본 모두 50위권에 서울·도쿄 외에 다른 도시는 없었다.

11~15위는 중국 항저우, 미국 워싱턴DC, 시애틀, 싱가포르, 미국 샌디에이고 순이다. 16~20위는 미국 오스틴, 중국 광저우, 이스라엘 텔아비브, 미국 덴버, 독일 베를린이다. 이밖에 프랑스 파리 22위, 홍콩 26위, 스웨덴 스톡홀름 27위, 캐나다 토론토 28위, 인도 뭄바이 32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35위 등이다.

☞피치북 글로벌 스타트업 도시 50 보러가기


10억$ 통큰 투자받은 AI 신약 개발사, CEO 알고보니...


image
김은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장, 김종갑 글로벌 디지털 혁신 네트워크 이사장 겸 대표이사, 최치호 한국과학기술지주 대표이사, 타하 사란 튀르키예투자청 한국지부장, 윤기동 한국과학기술지주 본부장&전무, 이상희 센드버드코리아 대표이사, 필립 빈센트 플러그 앤 플레이 재팬 대표, 일바 스트랜더 스웨덴 기술혁신청 혁신경영부 책임자가 26일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서울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열린 '2024 키플랫폼' 총회에서 패널토의를 하고 있다. /사진=김휘선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4 키플랫폼'에선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신약 개발에 도입하면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눈길을 끌었다.

김재원 반트AI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전임상 연구(임상시험 직전 단계)나 동물 실험 등을 AI로 대체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김 COO는 "임상 참여 환자 선발은 물론 시험 설계, 시뮬레이션부터 주문까지 AI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술을 쓰는 미국의 바이오 스타트업 자이라 테라퓨틱스(Xaira Therapeutics)가 10억달러(1조3700억원) 투자를 유치하며 실체를 드러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아치벤처파트너스, 포어사이트캐피탈의 계열사인 포어사이트랩스 등은 자이라를 6개월간 인큐베이팅해 왔으며 10억달러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자이라가 출범 6개월만에 시드 단계에서 이 같은 거액을 유치한 셈이다. 자이라의 화려한 등장은 두 가지 면에서 눈길을 끈다. 우선 생성형 AI를 신약개발에 적용한다는 점이다. 미 워싱턴대학 단백질디자인연구소의 데이비드 베이커 박사 등이 이 회사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이다. 이들은 약의 적용대상을 뜻하는 타깃을 AI가 찾아주거나, AI로 분자 모델을 만들어 실제 임상과 같은 모의실험을 해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image
마크 테시어-라빈 전 스탠포드대 총장
다른 하나는 연구 부정 스캔들로 스탠포드대 총장에서 불명예스럽게 사임한 마크 테시어-라빈이 CEO를 맡았다는 사실이다. 테시에-라빈은 바이오회사 제네테크의 최고과학책임자를 지냈다. 그런데 스탠포드대 총장이던 지난해, 제네테크의 연구실에서 연구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거센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끝내 대학 총장직에서 물러났지만 신생 바이오 스타트업의 경영자로 깜짝 복귀했다. 미국 매체 테크크런치는 "투자자들은 당시 사건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것 같다"고 전했다. 테시에-라빈은 "우리는 기술이 이 분야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변곡점에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한편 생성형 AI를 신약 개발에 사용하는 바이오기업으로 리커젼(Recursion)이나 제네시스 테라퓨틱스(Genesis Therapeutics) 등이 꼽힌다.


대학을 창업하다, 미국 'Campus' 투자유치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새로운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밝혔다. 일정 소득 미만 가구는 대출이자를 감면하는 등 약 400만명에 대해 대출 전액을 탕감해준다. 약 1000만명에 대해선 대출을 일부 면제해준다. 이는 미국 대학생과 그 가족의 학자금 대출 부담이 크다는 걸 보여준다.

동시에 미국 유력 대학이라도 많은 강사진이 급여가 낮은 게 논란이다. 이런 가운데 아예 대학을 창업한 미국의 청년이 화제다. 온라인 커뮤니티칼리지 캠퍼스(Campus)는 지난 23일(현지시간) 파운더스펀드가 주도한 23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A 확장(extension) 라운드를 유치했다.
image
알리사 로워리 밴더빌트대 겸임교수가 강의한다고 알리는 캠퍼스 대학/사진=캠퍼스(Campus.edu)
미국의 커뮤니티칼리지는 2년제 대학으로, 한국의 전문대와 비슷하다. '캠퍼스'는 온라인 커뮤니티칼리지로 등록금은 1년에 7200달러다. 연방정부 차원의 장학금 등을 고려하면 입학생의 약 40%가 무료로 공부할 수 있다고 현지 매체는 전했다. 모든 학생들에게 노트북이 제공된다.

캠퍼스는 밴더빌트대, 프린스턴대 등 미국의 유력 대학에서 강의하는 겸임교수를 초빙해 강의를 맡겼다. 강의료는 각 강의당 8000달러인데 전국 평균보다 많은 금액이다. 학생 입장에선 저렴한 등록금을 내면 되고, 교수는 강의료가 짭짤한 셈이다.

창업자인 테이드 오예린데 CEO(최고경영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 이 훌륭한 교수진을 접할 수 있게 하려는 생각에 꽂혔다"고 말했다. 오예린데는 학생들이 비용 부담 없이 졸업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해와 올 초에 나눠 진행된 시리즈A에서 2900만달러를 투자유치했다. 오픈AI의 샘 알트만 등이 주도한 투자 라운드였다. 농구스타 출신 샤킬 오닐도 투자자로 참여해 화제가 됐다.


"진짜 사람같네" 대화형 AI 독일 스타트업, 美 투자유치


image
팔로아 대화형 AI를 표현한 그래픽/사진=팔로아(Parloa)
대화형 AI 플랫폼을 개발한 독일 스타트업 팔로아(Parloa)가 미국에서 6600만달러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라운드는 알티미터(Altimeter)가 주도했다. 알티미터는 우버, 에어비엔비, 스노우플레이크 등에 초기투자했던 유력 VC다.

팔로아는 앞서 유럽에서 시리즈A로 2100만달러를 받은 데 이어 재차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누적 투자액은 9800만달러로 늘었다.

2018년 설립된 이 독일 스타트업은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최대 강점으로 내세워 대화형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유럽의 대형 보험사인 스위스라이프, 스포츠용품업체 데카슬론 등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이들 회사는 팔로아의 플랫폼을 통해 이메일, 메시지를 포함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고도화하고 있다.

팔로아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말테 코서브는 "우리 전략은 항상 고객 경험의 가장 중요한 측면인 '음성'에 중점을 뒀다"며 "팔로아의 AI 기반 음성 대화는 다른 어떤 솔루션보다 더 인간적으로 들린다"고 주장했다.

팔로아는 최근 뉴욕에 사무실을 여는 등 미국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EQT벤처스 주도로 2100만달러 시리즈A를 진행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