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 아래서 흙 나르고 별 보며 벽돌 반죽…동남아 환경악당 정복
[연중기획-진격의 K스타트업, 세계로!] 벽돌 고화재 스타트업 이노CSR의 글로벌 도전기 현지 석탄가마 문제 해결해 '수백억원' 탄소배출권 수익 기대 "韓기술로 개도국 사회문제 해결하는 액셀러레이터 되겠다"- 2022.03.25 07:00
- 이윤석 이노CSR 대표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이윤석 이노CSR 대표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
이노CSR이 처음부터 고화재 개발기업은 아니었다. 유니세프에서 근무하던 이윤석 대표는 2008년 사회적책임(CSR) 전문 컨설팅 회사로 이노CSR을 창업했다. CSR이 사명에 들어있는 이유다. 그러나 이 대표는 사업에 만족하지 못했다. 10여년간 다양한 기업들을 컨설팅해줬지만 '내 것'은 남지 않았다는 느낌이 들어서다. 이 대표는 2018년 직접 CSR을 달성할 수 있는 사업에 도전해보기로 한다.
이 대표가 선택한 분야는 벽돌 제조 분야였다. 동남아는 아직 고온의 가마에서 구워내는 방식으로 벽돌을 제조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환경오염·노동착취 등 문제가 심각했다. 이 대표는 "벽돌공장 가마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유해물질은 전체 오염물질 발생량의 약 30%를 차지했다"며 "자동차가 발생시키는 유해물질이 15%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두 배 이상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저임금인 아동·여성이 일하면서 발생하는 노동문제도 심각했다"고 말했다.
고화재를 사용해 굽지 않아도 벽돌을 단단하게 만들 수 있으면 해결되는 문제였다. 이미 우리나라를 비롯해 선진국은 해당 방식으로 벽돌을 제조한다. 그러나 동남아에서는 기술 부족, 높은 단가 등의 이유로 고화재 사용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이 대표는 사업을 위해 한국의 한 벽돌 고화재 공장을 인수했다. 기술은 뛰어나지만 해외사업화 여력은 없는 소공인이었다. 그렇게 이노CSR은 2019년 벽돌고화재 제조기업으로 변신한다.
네팔 현지의 기존방식 벽돌공장. 석탄매연과 분진 등으로 시야가 뿌옇다. /사진=이윤석 이노CSR 대표 |
우여곡절 끝에 2019년 현지 흙에 맞는 공정을 완성했지만 또 문제가 터졌다. 코로나19(COVID-19)였다. 네팔 전역이 봉쇄되면서 사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 또 한 번의 좌절 위기였다.
네팔에서 벽돌 제조공정 현지화 작업 중인 이윤석 이노CSR대표 /사진=이노CSR제공 |
이노CSR은 말레이시아 진출을 위해 현지 기업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했다. 조직이 작고 코로나19로 이동이 쉽지 않아 조인트벤처 설립으로 진출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본투글로벌센터도 해외 조인트벤처 설립 지원사업으로 이노CSR을 지원했다.이 대표는 "글로벌 진출은 어떤 사업파트너를 만나냐에 따라 성패가 갈리기도 한다"며 "본투글로벌센터의 믿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했더니 말레이시아 진출은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활성화된 것도 기회였다. 고화재를 통한 매출과 함께 탄소저감으로 인한 배출권 거래수익도 본격화될 수 있어서다. 이 대표는 "쓰던 석탄을 아예 안 쓰게 하니 탄소저감효과가 명확하다"며 "네팔에서 외국기업 최초로 탄소배출권(CDM) 거래 허가를 받았고 현재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에 등록 중"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2025년까지 연 100만톤 이상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게 목표다. 1월 기준 국내가격(톤당 3만5000원)으로 환산하면 350억원 규모다.
"K기술로 개도국 문제 해결하는 '녹색 기술 액셀러' 되겠다"
이노CSR은 네팔을 시작으로 다른 개발도상국 국가에도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 스리랑카 등도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사회적 효과를 본 아시아개발은행(ADB) 산하 ADB벤처스는 이미 이노CSR에 12만5000달러(1억5000만원)의 시드투자를 진행했다. 이 대표는 "탄소배출권 등록이 끝나고 매출이 가시화되면 올해 하반기부터는 기관투자 유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업모델도 확장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장기적으로 이노CSR을 '녹색 기술 액셀러레이터'로 만들 것"이라고 했다. 기술력은 높지만 글로벌화 여력은 없는 중소기업의 친환경 기술들을 이전받아 개도국에서 안착시키는 사업을 하겠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문제의식을 갖고 해외를 다니다 보면 책상 앞에서는 체감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들과 해결 기회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직접 뛰어다니면서 국내 기술로 개도국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페셜리스트가 되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